반응형 고용이론1 4장. 고용이론 4장. 고용이론 1. 실업의 개념 현재의 임금 수준에서 노동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기회를 얻지 못하는 상태이다. 즉, 비자발적 실업을 의미한다. 2. 고용이론(J.M.Keymes)의 특징 2-1. 실업은 개별산업(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 전체의 국민 소득 문제로 취급된다. 즉, 실업 현상을 거시적 각도에서 취급한 것이 특징이다. 2-2. 고용 내지 실업은 일국의 생산 활동과 직결되며 고용 문제를 국민 소득 수준의 문제로 취급한다. (ex. 고용의 증가는 국민소득 증가, 고용의 감소는 국민소득감소) 2-3. 완전고용이 매개변수직기능에 의해서 성립된다는 사실을 부정한다. 즉, 임금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노동력의 수요량과 공급량에 의해서 결정되며 완전 고용이 달성된다는.. 2025. 4.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