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정보통신기술의 이해
* 내용 정리
1. 통신의 중요성
오늘날 기업 경영에서 통신 기술은 필수적이다. 전화, 텔렉스, 팩시밀리 등으로 구성된 통신망은 기업의 신경 조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네 통신 기술과 컴퓨터 기술은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정보 시스템의 분산화 추세에 따라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나아가서 정보 시스템의 전략적 활용이 있어 통신 기술의 사용은 거의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내는 측, 받는 측, 전송매체, 프로토콜이 있다.
여기서 전송매체란 신호를 전달해 주는 매체를 말하며 프로토콜이란 송수신의 효과적 통제를 위해 마련된 표준화된 절차와 규칙을 말한다.
3. 정보의 부호화
자료의 전송에 앞서 인간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에서 정보통신 장비가 식별할 수 있는 코드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체계는 ASCⅡ, EBCDIC, Unicode 등이 있다.
4. 신호의 특성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신호의 주고받는 형태는 여러 가지로 다양하다. 방향성에 따라 전이중통신, 반 이중 통신, 단향통신이 있을 수 있고 송수신 시점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동기식 및 비동기식으로 나뉜다.
또한 한순간에 보낼 수 있는 양에 따라 병렬과 직렬로 구분한다.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시켜 주는 것을 변조라고 하고 일을 처리하는 장비를 모뎀이라 부른다. 또한 전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압축하기도 한다.
5. 전송 매체의 특성
전송 매체는 크게 도파 매체와 비도파 매체가 존재한다. 도파매체에는 동선,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등이 있으며 비도파 매체로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통신 등 다양한 전자기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6. 신호처리 안정화 기술
통신에 있어 신호는 거리와 장비 등에 따라 신호의 감소, 자연왜곡, 잡음 과 같은 감소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의 결과는 잘못된 신호 전달 즉 에러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에러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에러 식별의 방법에는 페리티 bit, 세로 중복 검사, 검사합, 순환 중복 검사 등 다양한 기법이 활용된다. 이런 에러의 처리 및 송수신 장비 처리 용량의 차이 등을 감안하여 전송될 자료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7. 정보보호기술
정보통신 시스템은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불법으로 정보통신망에 침입해 저장된 정보를 인출해 가고나 파괴하는 특허 활동의 표적이 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정보 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방화벽과 암호화, 복호화 등이 적용된다.
* 중요 용어 및 개념의 이해
1. 압축: 방대한 양의 데이터 중 이용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여 실제로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기술이다.
2. 광케이블: 매우 가늘고 빛을 전달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매체이다.
3. 전이중 통신: 동시에 양방향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모드이다.
4. 동선: 나선 형태 절연된 두 개의 구리선으로 구성된 전송 매체이다.
5. 단향통신: 한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드이다.
6. 모뎀: 서로 다른 신호의 형태를 변화시켜 주는 장치이다.
7. 비동기식 전송: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이 서로 같은 시각을 사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없는 통신모드이다.
8. 아날로그 신호: 물결모양의 연속된 신호이며 음성신호가 이에 속한다.
9. 전송매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물리적인 경로이다.
10. 방화벽: 사내 네트워크를 외부망과 접속할 경우 외부 불법사용자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정책 및 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총칭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1. 순환중복검사: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모두 총틀어 1과 0으로 구성된 하나의 숫자로 간주하고 이를 특정 소수로 나눈 나머지 값을 보내는 방식이다.
12. 주파수: 한 주기동안 변동하는 신호의 횟수이다.
13. 동축케이블: 구리 전도체를 플라스틱 절연물로 감싸고 이를 다시 그물 모양의 보호막으로 다시 감싼 케이블이다.
14. 병렬방식: 여러비트를 동시에 보낼 수 있는 통신방법이다.
15. 비도파매체: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이동통신, pcs, 송신과 수신은 안테나를 통해 이루어진다.
16. 위성통신: 인공위성이 중계소 역할을 하는 장거리 통신방법이다.
17. 반이중통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한 순간에 한 방향으로만 가능한 통신모드이다.
18. 헤르츠: 진동수의 단위, 음파, 전자기파 등의 주기적 현상이 1초 동안 몇 회나 돌아오는가를 보이는 수이다.
19. MPEG: 디지털 화상, 음성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을 위한 표준이다.
20. 도파매체: 전기파가 물리적으로 둘러싸인 경로를 따라 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21. 디지털신호: on과 off의 이진 기호로써 주고받는 신호이다.
22. 프로토콜: 통신시스템 구성요소 간의 호환성을 위해 미리 약속되거나 규정되어 있는 규칙이다.
23. 흐름제어: 전송장비의 전송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노력이다.
24. 동기식전송: 전송로상에서 신호정보를 일정 주기의 프레임으로 구확짓고 프레임을 시간 슬롯으로 분할해서 전송하는 시분할 다중방식이다.
25. 감쇠현상: 신호가 어떤 매체를 따라 송신될 때 신호의 세기가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차로 약해지는 현상이다.
26. 패리티비트: 1바이트를 형성하는 비트 외에 한개의 비트를 추가하여 항상 비트 1의 총개수가 짝수 또는 홀수가 되게 하는 에러 통제방법이다.
27. 대역폭: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의 차이로 통신용량을 나타낸다.
28. 암호화: 비밀키 암호기법- 암호화나 복호화 시 하나의 비밀키를 이용하므로 단일키 시스템 혹은 대칭형 시스템이라고 한다.
29. 공개키: 지정된 인증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키 값이다.
30. 진폭: 주파수 측정 단위이다.
31. 해킹: 정보통신망에 불법으로 침입해 컴퓨터에 수록된 정보를 인출 또는 파괴하는 행위이다.
32. 세로중복검사: 패리티 정보가 들어있는 문자 하나를 추가로 보내는 방식이다.
33. 유니코드: 영어 이외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16비트 체계의 코드이다.
34. 검사합: 블록에 포함된 각 문자의 10진수의 합을 255로 나눈 나머지 값을 보내는 방식이다.
'경제학&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정보관리> 8장. 다양한 정보통신망(1) (0) | 2025.04.15 |
---|---|
<경영정보관리> 6장. 데이터베이스 (0) | 2025.04.11 |
<경영정보관리> 생각해보기 문제(3) (0) | 2025.04.10 |
<경영정보관리> 5장. 정보시스템 기술구조 (0) | 2025.04.09 |
<경영정보관리> 생각해보기 문제(2)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