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경영학

2장.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by 코코넛잼 2025. 3. 31.
반응형

 1. 디플레이션


  1-1. 개념
   인플레이션의 반대개념으로 재화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감소(화폐가치가 상승)하여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즉, 유효수요가 공급이 미달하는 초과공급이 존재하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1-2. 원인
   과소소비(재화의 초과공급이 존재), 과소 투자(통화량 감소)
  1-3. 대책
   -민간 및 공공 지출의 확대(통화량 증대)
   -생산활동 위축(재화의 공급 감소)
   -수출증대


 2. 인플레이션

  개념: 디플레이션의 반대개념으로 재화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증대되어 초과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3. 인플레이션의 종류

 

  3-1. 발생원인에 따라서
   가. 소비 인플레이션: 소비 증대가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인플레이션
   나. 신용 인플레이션: 은행의 신용창조(통화량 증가)에 의해서 산업자금이 방출될 경우
   다. 투자 인플레이션: 자본의 한계 효율(투자의 예상 수익률)이 이자율보다 크기 때문에 투자의 증대가 발생할 경우     
   라. 재정 인플레이션: 재정지출이 증가할 경우 나타나는 인플레이션
   마. 외환 인플레이션: 외환시세가 오를 경우 자국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한다.
  
  3-2. 발생형태에 따라서
   가. 서행성 인플레이션: 국민경제가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 국민이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나타난다.
   나. 개방성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상태 하에서 정부가 통제를 가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 환불투기(부동산, 재화의 투기)가 일어나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
   다. 억압 인플레이션: 개방 인플레이션 상태에서 정부가 직접적으로 가격 통제와 지출통제 정책을 취할 경우 생산활동은 위축되고 재화 가격(물가)은 상승한다.
   라. 진정 인플레이션: 완전 고용 상태에서 나타나는 인플레이션으로서 유효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마. 애로 인플레이션: 불완전 고용 상태에서는 유효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원칙적으로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지만 생산물은 증가한다. 특수한 산업에 수요가 증가할 경우 자원 부족으로 인하여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특수산업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이다.
   바. 반 인플레이션: 생산증대와 더불어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요구에 따라서 임금을 인상하면 수요증대(소비재)와 더불어 물가가 상승하여 또다시 임금을 인상하는 임금과 물가와 악순환 관계에서 발생한다.
 
  3-3. 새로운 인플레이션
   완전고용 달성, 경제성장 달성, 사회보장 정책지원, 핵무기 경쟁 등에 국가가 과다하게 재정 지출을 증가시킨 것이 원인이다.
   가. Demand Pull Inflation(초과수요 Inflation)
    통화량 증대가 직접 초과 수요를 발생시켜서 물가 상승이 되는 인플레이션이다. 통화량 증대의 원인으로는 경제개발 및 전후 불황 극복을 위해서 적자공채를 발행, 시중 은행에 의한 예금통화의 증대가 있다.
   나. 시장지배력 Inflation
    -개념: 재화의 공급을 중요시한 인플레이션으로써 독과점기업이 시장을 지배할 수 있어 균형가격 이상으로 가격을 결정하여 물가 상승이 일어나는 형태이다.
    -종류 
     관리가격 Inflation: 시장 형태가 독과점 되어 대기업이 극대이윤을 확보하는 점에서 결정되는 가격이다.
     Cost Push Inflation(비용 인상): 노동조합이 부당한 임금 인상으로 생산비(비용)가 상승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완만하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현상은 불황기에 생산활동 위축과 더불어 발생하므로 Stagflation이라고도 한다. 완전 고용 및 경제성장 실현에 따라서 노동력이 부족하여 임금인상을 급격히 상승시키고 기업 간에 존재하는 생산성 격차가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4. 인플레이션의 원인


  유효 수요가 재화의 공급을 초과한다. 즉, 과잉 소비, 과잉투자, 적자재정, 수출초과로 물가 상승과 통화량 증대를 초래한다.


 5. 대책

  가. 일반적인 대책
   -가속도원리
   -승수이론

  나. 구체적 대책
   -단기적 대책: 생산량 증가 대책(자원의 적정 배분, 노동시간 연장), 재정 정책(정부지출 감소, 이자율인상, 세제의 조작), 소득정책(물가 상승 억제, 임금 억제, 독점이윤 억제), 화폐 금융정책(통화량 제한 정책, 환율 인하)
   -장기적 대책: 산업진흥 정책, 경제성장, 인구 억제, 수입 촉진

 

 

반응형

'경제학&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고용이론  (0) 2025.04.01
3장. 국민소득이론  (0) 2025.03.31
1장. 화폐금융이론 (2)  (0) 2025.03.29
<거시경제학> 1장. 화폐금융이론 (1)  (0) 2025.03.28
5장. 분배이론(2)  (0)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