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7 5장. 분배이론(2) 5장. 분배이론(2) 6. 이자론 6-1. 이자의 개념 자본의 수요(대부이자)와 공급(저축이자)에 대한 대가 가. 이자율의 구분 -화폐이자율: 현실의 자본 시장(금융)에서 화폐로 지급되는 시장이자율. (근대적 이자 사용) -자연이자율: 실물 자본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결정되는 이자율. (고전적 이자 사용) 6-2. 이자율의 결정 가. 이자율은 대부 자금의 증감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부 자금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는 점에서 균형이자율이 결정된다. 나. 이자율은 중앙은행에서 실시하는 통화정책에 의해서 결정된다. -통화량이 증대될 경우, 저축이자율은 상승하고 통화량은 감소 -통화량이 감소할 경우, 대부이자율은 하락하고 통화량은 증.. 2025. 3. 27. 5장. 분배이론(1) 5장. 분배이론(1) 1. 분배의 개념 한 사회(국가)가 일정 기간(1년)에 산출한 국민 순 생산액은 그 생산에 참여한 생산요소 제공자들이 소득으로 분할하는 과정 2. 소득의 종류 2-1. 재산소득: 재산(생산재, 수익재)을 소유하면 발생하는 소득으로 자본주의 경제에서 형성된 소득 근로소득: 노동력 제공자에 의하여 획득하는 소득(ex. 소득) 2-2. 계약소득: 고용계약, 대차 계약에 의하여 성립되는 소득 잔고소득: 생산물의 가격과 생산비와의 차액에서 성립되는 소득(ex. 이윤) 2-3. 본원적 소득: 직접 생산 활동에 종사함으로써 획득하는 생산적 소득 파생적 소득: 직접 생산 활동에 종사하지 않고 타인의 본원적 소득에서 파생되는 용역 소득 2-4. .. 2025. 3. 27. 4장. 가격이론(2) 4장. 가격이론(2) 3. 균형가격의 형성 3-1. 수요공급의 법칙 상품의 시장 가격은 그 상품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되는 점에서 결정되는 법칙이다. 즉,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일치되는 점에서 균형가격이 결정된다. 3-2. 균형가격 완전경쟁시장에서 수요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성립되는 가격 3-3. 균형가격의 종류 가. Marshall의 주장: 수요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공급 측의 사정이 수요에 어떻게 적응하는가? -일시적 균형가격 현재 시장에 있는 재고량만을 가지고 수요에 적응한다고 가정할 경우 공급자들 사이에는 재화의 판매 측면에서만 경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기간에만 일어나는 균형가격을 일시적 균형가격이라 한다. -단기균형 가격 수요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생.. 2025. 3. 26. 4장. 가격 이론(1) 시장 형태와 가격 결정 4장. 가격이론 1. 교환이론 및 시장 1-1. 교환 현상 시장에서 성립하는 가격을 매개체로 상품과 상품 또는 상품과 화폐와의 교환 과정 1-2. 교환론 시장 형태의 차이에 따라서 가격 형성 원리를 달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장 형태를 규명하는 이론 가. 완전경쟁시장 - 완전경쟁가격 나. 독점시장 - 독점가격 다. 불완전 경쟁시장 - 불완전경쟁가격 1-3. 일물일가의 법칙 동일한 재화에 대해서는 1가지 가격만이 성립되는 법칙 그러나 이 법칙은 완전경쟁시장에서만 적용된다. 불완전 경쟁시장에서는 동일한 재화에도 여러 가지 가격(독점가격, 과점가격)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2. 시장 형태 2-1. 완전경쟁시장: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시장 형태 가. 시장에 있어서 경쟁.. 2025. 3. 25. 3장. 생산 이론 3장. 생산 이론 1. 생산과 생산요소 1-1. 생산의 개념 일정한 재화(생산재)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재화(생산물)가 획득되는 과정이다. 즉, 재화와 용역을 생산, 분배, 교환, 저장, 이동을 통하여 가치가 증가하는 과정이다. 1-2. 생산의 종류 가. 자기 생산: 자기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서 생산(자급자족)하고 소비하는 형태이다. 나. 주문생산: 교환 경제에서 이루어지는 형태로 타인의 주문에 의해서 생산되는 형태이다. 다. 시장생산(상품): 자본주의 경제의 생산 형태로 시장의 수요를 목표로 해서 생산하고 이것을 상품으로 공급하는 형태이다. 라. 계획생산: 사회주의 경제의 생산 형태로 국가가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각 기업에.. 2025. 3. 24. 2장. 소비 경제 이론 (2) 2장. 소비 경제 이론 6. 소비함수론 6-1. 소비함수의 개념 가. 소득과 소비와의 함수관계 나. 구분 - 개인적 소비함수: 개인의 소득과 개인 소비와의 함수관계를 표시 - 사회적 소비함수; 국민소득과 국민 소비와의 함수관계를 표시 6-2. J.M. Keynes의 소비 함수론 소득이 증가할 경우 소비도 증가하나 소득 증가액보다 소비가 적다. 그 이유는, 소득의 증가분은 일정한 비율로 소비(C)와 저축(S)으로 지출되기 때문이다. 가. C/Y(소비성향): 소득 중에서 소비에 지출되는 비율 나. 한계소비성향: 소득이 증가할 경우 그 증가분 중의 어느 정도가 소비에 지출되는가의 비율 다. S/Y(저축성향): 소득 중에서 저축에 지출되는 비율 라. 한계저축성향 .. 2025. 3. 23.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