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경영학

<경영정보관리> 5장. 정보시스템 기술구조

by 코코넛잼 2025. 4. 9.
반응형

<요약정리>

 

1.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조
 컴퓨터의 하드웨어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자료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이용자로부터 처리할 자료나 내용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 처리된 결과를 이용자에게 나타내주는 출력장치 그리고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보관해 두는 보조기억장치 등이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하드웨어 전체를 통제하고 자료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성능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입력 장치에는 마우스, 라이트펜, 접촉 화면 장치, 음성입력장치 등이 있으며 출력장치에는 모니터, 프린터, 플로터, 음성출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보조기억장치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DVD-ROM 등이 있다.

2. 소프트웨어의 분류
 소프트웨어는 그 용도에 따라 크게 시스템소프트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로 분류한다. 시스템소프트웨어는 여러 하드웨어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지원해 주고 이용자에게 컴퓨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해 주는 일련의 프로그램을 뜻한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이용자의 특정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3. 정보시스템 기술 구조의 종류
 정보시스템 기술구조란 조직의 정보처리 목적을 위해 보통 여러 대의 컴퓨터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정보기술의 계속적 발전과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이 기술구조는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중앙에 있는 대형 컴퓨터에서 정보 처리의 모든 부분을 수행하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결과만 일정한 포맷으로 전달받는 집중화 방식이 있다. 이런 집중 환경과는 달리 등장한 개념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이다. 이 환경에서는 한 컴퓨터가 모든 처리를 하는 것 같아 이 아니라 여러 대의 컴퓨터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역할을 분담해야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는 역할을 어떻게 분담하느냐에 따라 2계층 구조, 3계층 구조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3계층 구조는 미들웨어 성격,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따라 TP 모니터 구조, 애플리케이션 서버 구조 또는 컴포넌트 기반 구조 등으로 세분된다.

4. 프로그래밍 언어 종류
 프로그래밍 언어는 그 발전 단계에 따라 1세대 언어, 2세대 언어, 3세대 언어, 4세대 언어로 분류될 수 있다. 제1세대 언어는 최초의 프로그래밍 언어 기계어가 대표적이며 이 기계어는 0과 1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변환 없이 전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직접 해독될 수 있는 유일한 컴퓨터 언어이다. 제2세대 언어는 1950년대에 등장한 어셈블리어 기계어로 짜인 작업 지시문 대신에 기억하기 쉽도록 부호를 이용한다. 
제3세대 언어는 기존에 기계어, 어셈블리어와 달리 우리 인간이 사용하는 상용어 또는 산술적 표현 방법과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고급 언어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사용하기에 편하고 또한 하급 언어보다 생산성이 높은 언어이다. 마지막으로 제4세대 언어는 수행되어야 할 작업의 정의만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복잡하고 구체적인 ‘어떻게’라는 문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게끔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적 언어와 자바 언어가 소개되었다. 인터넷과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이들 언어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다.

5. 객체지향 기법
 객체 지향 기법이란 시스템에 속해 있는 객체를 중심으로 설계하며 객체와의 접촉은 간단한 메시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의 향상과 보다 안정적인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 기법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객체 지향 언어로는 C언어, 자바 등을 들 수 있다.

 

<중요 용어 및 개념 이해>


1. 정보시스템 기술 구조: 조직의 정보처리 목적을 위해 보통 여러 대의 컴퓨터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2. 중앙처리장치: 하드웨어 전체를 통제하고 자료처리를 직접 수행하는 컴퓨터 요소이다.
3. 주 기억장치: 중앙처리기가 처리할 자료와 지시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장소이다.
4. 보조기억장치: 장기적으로 보관해 두어야 할 자료를 저장해두는 공간이다.
5. 알고리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취해지는 단계적 절차이다.
6. 응용 소프트웨어: 이용자의 특정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이다. 
7. 시스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장치의 효율적 사용과 컴퓨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8. 집중화된 기술 구조: 중앙에 위치한 대형 컴퓨터에서 처리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구조이다. 9.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 컴퓨터가 직접 정보를 교환하여 처리하는 구조이다. 
10. 객체지향 기법: 시스템에 속해 있는 객체를 중심으로 설계하는 기법이다. 
11. 2 계층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서로 역할을 분담하여 처리하는 구조이다. 
12. 3 계층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또 다른 서버를 두어 처리하는 구조이다. 
13. 컴포넌트: 미리 정리된 플레인 워크에 들어갈 기본 단위로 구현된 소프트웨어 단위다.

 

반응형